자신의 글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즉 내 포스팅을 구글 상위로 끌어올리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 체류시간입니다. 이것이 너무 짧으면 구글이 볼 때 해당 포스팅은 질이 나쁜 포스팅이라고 판단하고 순위를 확 낮춰버리게 됩니다. 오늘은 이것을 늘릴 수 있는 효과적인 노하우에 대해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목차>
1. 내용의 퀄리티
2. 쓸데없는 말들 처리
3 문장과 문단의 길이
본질은 읽는 사람이 볼 때 내용이 좋아야 된다.
읽는 사람이 제목을 보고 들어왔을 때 정말 그 내용과 맞고 자신에게 도움이 되면 나가지 않고 끝까지 그 포스팅을 읽고 나가게 됩니다. 이게 본질입니다. 일단 자신이 쓰는 그 포스팅에 대해서 완벽히 이해하고 있고 그 내용에 대해 풍성한 내용을 자신의 포스팅에 담아야 합니다. 이게 가장 중요합니다. 그 읽는 사람이 자신의 포스팅 단 한 개만 보고도 굳이 다른 블로그 포스팅을 안 봐도 될 정도로 확실하고 세세하게 키워드와 관련된 모든 내용을 적어놔야 합니다.
이렇게 본인이 키워드에 대한 내용에 대해 완벽히 이해하고 있고 내용을 잘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 다음과 같은 방법을 써보시기 바랍니다.
글자 수 늘리기 위한 유려한 말들, 아이스브레이킹 모두 삭제
글자 수가 많아야 구글 SEO에 좋다는 이야기를 듣고 조금이라도 글자 수를 높이기 위해 쓸 때 없이 말을 늘려 쓴다는지, 아이스브레이킹을 초반에 한다든지 하면 안 됩니다. 그런 내용들은 방문자가 그 글을 읽다가 별로 쓸데없는 내용이 적혀있다고 판단하고 나가게 하는 중요 원인이 됩니다.
그렇다고 글자 수가 중요하지 않다는 말이 아닙니다. 만약 저렇게 쓸데없는 내용들을 지웠는데 글자 수가 너무 부족하다고 생각되면 그건 본인이 해당 포스팅 내용을 너무 모르고 있다는 것입니다. 만약 글자 수를 채우고 싶으시다면 더 포스팅과 관련된 내용들을 공부해서 방문자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채워야지 쓸데없는 말로 채우는 건 오히려 독이 됩니다.
따라서 글을 일단 쫙 쓰시고 나셔서 한번 본인의 포스팅을 쭉 돌아보시기 바랍니다. 내가 쓸데없는 말들이나 그냥 글씨 채우기 위한 내용을 쓰지 않았나? 만약 그런 냄새가 나는 글들이 보이신다면 지체 없이 바로 지워주시면 되겠습니다. 최대한 키워드에 관련되어 있는 알맹이에 속하는 중요 내용들만 포스팅에 남겨주셔야 됩니다.
한 문단과 한 문장에 너무 많은 글자를 박아 넣지 말자
한 문단이란 엔터를 통해 띄어쓰기를 한 문장들의 단위입니다. 이 한 문단에 너무 많은 글들이 쓰게 되면 방문자들로 하여금 눈이 피로한 느낌을 들게 하여 중간에 읽다가 나갈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한문단에 최소 2줄, 최대 6줄까지만 작성해주시고 중간중간에 띄어쓰기를 통해 문단을 분리해 주셔야 합니다. 지금 현재 저가 이 글을 쓰고 있는 포스팅도 2줄~3줄을 쓰고 띄어쓰기를 해주는 것을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이런 식으로 작성해 주셔야 합니다.
더 작은 단위의 문장을 보겠습니다. 한 문장이 2줄 이상 넘어가게 되면 문장 초반에 했던 내용이 날아가기 쉬워 그 문장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최대한 중간에 온점으로 끊어주고 접속사나 연결어를 통해 문장을 이어 나가 주는 연습을 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자신의 글의 체류시간을 높여주는 노하우 3가지를 말씀드렸습니다. 다시 한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 일단 내용 자체가 좋아야 한다.
- 쓸데없는 말들 다 없애자.
- 한 문장, 한문단에 너무 내용을 욱여넣지 말자.
이 세가지만 지켜도 평소보다 꽤 많은 시간의 체류시간을 확보하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꼭 해당 방법 적용하셔서 높은 체류시간을 통해 높은 구글 순위를 확보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같이 보면 좋은글들>
블로그 포기하고 싶게 만드는 다양한 이유들
블로그 현재 필자를 비롯해서 많은 사람들이 디지털 노마드를 꿈꾸며 운영하고 있는 플랫폼일 것이다. 하지만 너무나 깜깜한 길을 헤쳐나가는 느낌이어서 계속 붙잡고 싶지만 자꾸만 포기하고
dankookposing.tistory.com
애드센스 자동 광고 쉽게 연결하는 방법
애드 고시를 합격하면 이제 광고를 달 수 있게 된다. 보통 처음 하시는 분들은 그냥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에서 수입 탭으로 들어가 설정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그것보다는 직접 애드센스 공식
dankookposing.tistory.com
블로그 리스크 어떤 것들이 있을까? [블로그 시작]
처음 이 세계에 들어오신 분들이라면 리스크 같은 건 없을까 하고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있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대부분 처음 시작하는 분들은 네이버 혹은 티스토리 둘 중 하나를 골라서 할
dankookposing.tistory.com
전업 블로그 로드맵 설계 과정
블로거로 돈을 벌고 이거 하나만으로 먹고사는 전업을 마음먹었다. 평소 인간관계를 굉장히 안 좋아하고 이 인간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에 치가 떨린다. 최대한 사람과의 접점 없이 돈을 벌 수
dankookposing.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