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화학 반데르발스 힘에 대해 알아보자

by 단국사범생 2022. 12. 1.
반응형

화학을 공부하다 보면 전자기적 끌림, H2O의 수소적 끌어당김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보았지만 반데르발스에 의한 끌어당김은 많이 들어보지 못하셨을 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좀 생소한 이 힘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극성이 없는 분자간 발생
2. 왜 가까우면 끌어당기는가
3. 써머리 요약

극성이 없는 분자간에 일어난다

이 힘은 전기적 끌어당김 처럼 양성자와 음성자끼리의 끌어당김이 아니라 극성을 띄지 않는 것끼리 끌어당기는 상황입니다. 이것은 극성을 띄지 않는 분자 혹은 원자끼리 굉장히 가까워지면 갑자기 서로 끌어당기게 되는데, 이 근원이 바로 반데르발스 인력입니다. 한번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왜 가까우면 끌어당기는데?

분자가 극성을 띄지 않아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약하게 극성을 띄게 되어 있습니다. 아래 대표적인 수소 2개와 산소 1개로 이루어진 물 분자를 예로 보겠습니다. 산소가 전자를 끌어당기는 힘이 수소보다 강하여 전자가 상대적으로 산소 쪽으로 몰리게 됩니다. 이렇게 전자의 상대적인 위치로 인해 물분자 전체로 보면 극성을 띄지 않지만 분자 내부로 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수소가 +, 전자가 몰려있는 산소가 -를 띄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편극이라고 합니다. 

 

 

 

 

편극 현상 설명하는 사진
편극 현상 내용

 

 

 

 

이렇게 분자 내부에서 편극이 일어나면 분자에 상대적인 +, -가 형성되게 되고 이렇게 +, -가 형성된 상태에서 다른 분자가 매우 가깝게 다가오게 되면 다른 분자도 마찬가지로 상대적인 +, -가 존재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이 상대적인 양, 음전하가 서로 끌어당기게 되어 결국 무극성 분자끼리 끌어당겨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 이것을 바로 반데르발스 인력이라고 정의하는 것입니다. 


<서머리>

반데르발스는 무극성 분자끼리 가까워졌을 때 끌어당기는 힘
분자 내부의 편극 현상 때문에 이런 현상 발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