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파이썬 문자열 연산자의 종류와 사용법 알아보자

by 단국사범생 2022. 11. 4.
반응형

우린 예전부터 수학을 배워오면서 숫자의 + - * / 에만 익숙해져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숫자가 아닌 것들도 저런 연산자가 사용됩니다.. 간단한 +부터 [] 통한 인덱싱 등 다양한 쓰임과 사용법에 대해서 한번 살펴봅시다.

 

연결 연산자 : +

수학에서는 +는 + 앞뒤의 숫자를 더할 때 사용됩니다. 하지만 이 코딩에서는 글씨체에도 +를 사용할 수 있는데, 앞뒤의 문장이나 단어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글씨" + "글씨"

이제 이 형태를 이용한 실제 코딩의 예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print("안녕" + "하세요")
결과 : 안녕하세요
>>>print("안녕하세요" + "!")
결과 : 안녕하세요!

이 예시처럼 +는 앞뒤 문자열을 띄어쓰기 없이 연결해 주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글씨와 숫자를 연결하면 어떻게 될까? 오류가 나게 됩니다. 글씨는 글씨끼리만 더할 수 있고 숫자는 숫자끼리만 더할 수 있는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반복  : *

숫자에서는 곱하기로 사용되었지만, 글씨에 사용하게 되면 해당 글씨나 문장을 반복시키는 뜻으로 바뀌게 됩니다. 간단한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문자열" * 3

이렇게 사용해주면 저 " "안에 들어가 있는 단어 혹은 문장이 3번 반복되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 숫자는 유동적으로 사용자 마음대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한번 실질적인 예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rint("안녕하세요" * 3)
결과 : 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

보시는 것과 같이 *를 사용하면 앞에 나와있는 단어 혹은 문장을 띄어쓰기 없이 반복해주는 모습을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선택  : [ ]

이건 평소 우리가 숫자의 + - * /에선 못 보던 것으로 약간 당황할 수 있다. 이건 글씨들이 쫙 나열되어 있을 때, 몇 번째 글씨를 추출해줘! 혹은 몇 번째부터 다음 몇 번째까지의 글씨만 추출해줘! 같은 용도로 쓰인다. 예를 들어서 안녕하세요 라는 단어가 있으면 이때 3번째 단어를 추출해줘! 하고 세 가 추출되도록 하는 식이다. 그리고 좀 특이한 점 하나를 알아두어야 하는데, 안녕하세요 에서 처음부터 1,2,3,4,5 이렇게 세는 게 아니라, 0,1,2,3,4 이런 식으로 첫 글자가 0부터 카운팅이 들어간다. 그러니까 안녕하세요의 3번째는 0부터 세면 세 가 등장하게 되는 논리이다

 

한번 구체적인 사용 예시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print("안녕하세요"[3])
결과 : 세

이렇게 원하는 딱 한 글자를 꼬집어서 결과값으로 불러낼 수도 있지만 범위를 지정해서도 불러낼 수 있다. 가령 안녕하세요라는 단어가 있을 때 1번째 글씨부터 마지막 글씨까지 쫙 뽑아내는 것을 원한다면 [1:]이렇게 지정하면 된다. 또 반대로 3번째 글씨까지 쫙 뽑아내는 것을 원한다면 [:3] 이렇게 지정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1번째 글자부터 3번째 글자까지만 뽑아내고 싶다면 [1:3]이런 식으로 인덱싱 해주면 된다. 

  • n번째 글자부터 뒤에 끝까지 추출 [n : ]
  • 처음부터 n번째 글자까지 쫙 추출 : [ : n]
  • n번째 글자부터 m번째 글자까지 쫙 추출(n <m) : [n : m]

오늘 이렇게 파이썬에서 매우 기초라고 할 수 있는 글씨와 관련된 +, []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앞으로 다른 코딩 관련 내용들과 굉장히 많이 연결되는 내용이므로 꼭 마스터해주고 넘어가 주길 바란다. 또 혹시 print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여라

print함수 사용 방법 정리 [파이썬 코딩]

 

print함수 사용 방법 정리 [파이썬 코딩]

프린트를 이용하면 어떤 메시지 값을 출력할 수 있게 됩니다. 모든 다양한 함수들 중에서 가장 기초가 되며, 보통 강의 가장 첫 번째 시간에 만나게 됩니다. 기초적인 문법과 이용 방식을 위주로

dankookposing.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