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리정돈 해야하는 이유 - 뇌과학적 해석

by 단국사범생 2022. 12. 2.
반응형

정리 정돈 하는 모습의 레고 사진
정리 하는 모습의 레고사진

 

 

 

평소 자신의 주변을 돌아보았을 때 자신의 방이나 사용하는 책상이 잘 정리 정돈되어 있으신가요? 사실 매우 사소해 보이지만 잘 정리되고 안되고의 이 작은 차이가 스노우볼이 굴러가 굉장히 큰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왜 이 사소한 정리정돈을 꼭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나중에 필요한 물건을 바로 찾을 수 있게 됩니다

미리미리 바로 필요한 물건들과 나중에 필요할 것 같은 물건들을 분리하여 정리해놓으세요. 이러면 나중에 보고서를 쓴다거나 자료를 제출하거나 할 때 우왕좌왕하게 되지 않게 됩니다. 또 이렇게 예전에 미리미리 정리해 놓으면 이것을 나중에 꺼내 쓸 때 굉장히 효율이 높게 일을 처리하는 자신을 발견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정리 정돈하는 사소한 습관의 선순환

평소 자신의 방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습관이 몸에 밴 사람은 이 습관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이 습관 덕분에 자신이 평소에 공부를 위해 노트를 정리하고 필기를 정리할 때도 훨씬 정확하고 보기 좋게 정리하는 자신을 저절로 발견하게 됩니다. 

 

청소가 안된 방의 부정적인 영향

청소가 제대로 안된 방은 우리의 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 부정적인 영향들을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는 뇌를 피로하게 만들고 뇌의 휴식을 방해하게 됩니다. 일단 방이 어지럽다면 시야에 너무 많은 정보들이 한꺼번에 들어오게 됩니다. 이렇게 많은 정보를 지속적으로 보며 이를 뇌가 처리하는 과정에서 피로감을 불러오게 되고 이는 결국 뇌에 피로를 주게 되는 것이지요.

 

두 번째로는 일상에서의 집중력을 크게 떨어뜨립니다. 뇌과학에서의 연구들로 밝혀진 바로는 우리 뇌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 정해진 횟수가 있다고 합니다. 우리의 널브러진 방을 보며 우리 뇌는 쓸데없는 의사결정들을 계속하게 만듭니다. 왜냐하면 이런 방을 보면서 우리는 "언제 한번 청소해야 하는 데" 혹은 "아 저건 저기에 두고 이건 여기에 두는 게 좋겠다"와 같은 생각을 계속하게 만듭니다. 이 때문에 우리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횟수가 비효율적으로 줄어들게 되지요. 


이렇게 청소를 하면 좋은 점들과 청소를 안 했을 때 생길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 정도 설명했으면 이젠 어느 정도 청소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드셨을 것 같습니다. 가장 첫 번째로는 아침에 일어나서 이불을 개는 것을 시작으로 밀린 설거지를 한다든가 책상에 필요 없는 물건들을 정리하는 것부터 시작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