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누구나 한번쯤은 스쳐지나가듯이 생각해봤을듯한 주제이다. 왜 우리는 저 높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빗방울 맞아도 아프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것일까??
우리가 총알을 맞았을때 죽거나 매우 심하게 다치는 것은 총알의 속도가 매우매우 빨라 총알이 부딪힐때 엄청난 충격량이 몸속으로 전해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총알을 매우 빠르게 맞으면 매우 위험한 것 처럼 위에서 내리는 비도 매우 빠르게 내려올텐대 왜 우리는 다치지 않는 것일까?
비의 입장에서 해석하여 보자. 비가 하늘에서부터 땅까지 떨어지는데 그 속도가 무한정 커진다면 비 한방울 한방울은 우리의 몸을 관통하는 총알과도 같을것이다. 비가 하늘에서 떨어질때는 공기에 의해 떨어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즉, 위쪽으로 저항력이라는 힘을 받게된다. 예를들어 만약 우리가 고속 주행하는 차창 밖으로 손을 내밀때 느끼는 손이 뒷방향으로 밀려지는 느낌이 바로 마찰력 때문에 그러는 것이다. 이러한 마찰력을 비 또한 받게된다고 생각하면된다.
이렇게 비는 하늘에서 땅으로 떨어지는 모든 과정마다 위쪽으로 마찰력을 받게 되기 때문에 특정 속도 이상으로 비가 빨라지지 않게 되는것이다. 그리고 이때 이 특정 속도를 물리학적 용어로 "종단속력" 이라고 부른다.
종단속력이 그렇게 빠르지 않은 선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우리는 비를 맞아도 크게 위협이 안되는 것이고 이때문에 우리는 비를 맞아도 아프지 않은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