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문자열을 숫자로 혹은 숫자를 문자열로 바꾸는 방법 [캐스트]이용

by 단국사범생 2022. 11. 4.
반응형

코딩을 하다 보면 타입의 지정을 인위적으로 바꿔 코딩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변수를 숫자 값으로 지정해놓고 그 변수를 수타입으로 바꿔야 하는 경우이다. 이럴 때 우리는 캐스트를 사용하면 된다.

 

기본적으로 알아야 될 지식

일단 전제로 깔고 가야 하는 지식 몇 가지가 있으니 일단 이를 본인이 아는지 모르는지 확인해보길 바란다. 

  • int() 함수 : 글씨 타입을 정수형 자료로 변화시키는 함수이다. 의미적인 부분에서 int뜻 자체가 정수라는 것도 있다.
  • float() 함수 : 글씨 타입을 실수형 자료로 변화시키는 함수이다. 수 체계에서 실수형 안에 정수형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float() 함수의 범위가 더 큰 것을 당연히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의미적인 부분에서 float자체가 실수라는 뜻도 있다. 
  • str() 함수 : 수로 된 타입을 문자 타입으로 변환시키는 함수이다. 또 의미적인 부분으로 의미로 str자체가 "문자형"의 뜻을 가진다.
  • type() 함수 : 괄호 안에 있는 놈이 어떤 체계인지, 그러니까 문자형인지, 정수형인지, 실수형인지를 확인해주는 함수이다.

이 기본적인 세 가지 함수에 대해 완전히 알고 본격적으로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바꿔버리는 스킬에 대해 배워보도록 하자. 

 

캐스트 해보자 : 글자 타입을 숫자 타입으로 바꿔봅시다.

이때 조건이 있다. 글자라고 해서 실제 글씨나 단어 예를 들어 "사랑", "나는 당신을 좋아합니다"같은 실제 글자는 에러가 발생한다. 여기서 내가 말하는 글자는 수이지만 글자로 세팅되어 있는 것을 숫자형으로 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pi = 3.14 이렇게 특정 영어에 수를 할당하는 경우 이 pi값은 수이다. 이렇게 변수를 지정해서 생기는 그 변수 자체는 처음에는 글자로 분류된다. 이럴 때 정수 혹은 실수 타입을 바꿀 수 있다. 한번 예를 보도록 하자

>>>pi = 3.14
>>>type(pi)
결과 : str

pi에 대해서 변수로 지정해준 상황이다. 이렇게 변수 지정을 했을 때 그 변수의 처음 타입은 str로 나오게 된다. 자 이제 이 pi를 정수 형태의 타입으로 바꿔주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int() 함수를 이용하면 된다.

>>>pi =3.14
>>>int(pi)
>>>type(pi)
결과 : int

아까 예시와 마찬가지로 pi를 일단 변수로 지정해 놓았다. 여기서 바로 타입 함수를 쓰지 않고 2번째 줄에서 pi의 형식을 변환시켜 주었기 때문에 결과가 바뀌게 된 것이다. 자 이번에는 문자를 수로 바꾸는 것도 시도해보자

 

>>>output = str(52)
>>>type(output)
결과 : str

자 이번에는 52라는 수를 str함수를 이용함으로써 타입을 문자열로 바꿔준 것이다. 그리고 type() 함수로 실제로 이게 어떤 것인지 알기 위해 output을 집어넣었더니 실제로 결과가 str로 나오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이렇게 int, str함수를 통해서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변수를 지정해서 코딩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정말 많이 쓰게 되는 지식이므로 꼭 마스터해서 다음 배움으로 진입하길 바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