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뇌 부위별 하는 일에 대해서 살펴보자

by 단국사범생 2022. 12. 5.
반응형

저희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뇌가 사람을 작동시킨다는 사실은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부위별로 어떻게 구체적으로 작동을 시키는 것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신 분들이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 한번 준비해 보았습니다.

 

대뇌 : 4개의 엽으로 구성

전두엽 : 공부머리

 

 

전두엽 사진
전두엽 사진

 

 

 

 

흔히 우리가 말하는 공부하는 머리가 바로 이 전두엽이다. 전두엽은 뇌의 앞쪽 부분에 위치합니다. 주로 암기사항을 단기적으로 암기하는 능력, 그리고 논리적인 사고를 풀어나가는 논리력과 사고력이 여기서 나오게 됩니다. 저희가 다른 동물들보다 더 많은 지식을 얻고 할 수 있는 것도 바로 이 전두엽이 잘 발달되었기 때문이죠.

 

후두엽 : 시각정보

눈에서 들어온 시각적 내용들이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최종적으로 이 후두엽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이 후두엽에서 해당 내용을 해석한 것이 바로 저희가 "보고 있다"라고 해석되는 것이죠. 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시는 것도 바로 후두엽이 해석해서 나타내 주는 것을 통해 읽고 계신다는 것입니다. 만약 이 부위에 장애가 생기게 된다면 눈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더라도 저희는 아무것도 보지 못하게 되겠죠.

 

측두엽 : 언어기능

측두엽은 저희가 언어를 이해하고 언어를 배우는 등등 언어와 관련된 기능을 발휘하게 해 줄 수 있는 장소입니다. 즉, 저희의 국어실력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겠죠. 측두엽은 옆쪽 아랫부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또한 귀 바로 위에 위치해있는 특성상 청각과 관련된 일도 담당하고 있습니다. 밖에서 소리가 들려올 때 이 소리를 처리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또한 이 측두엽 내에 그 유명한 "해마"가 존재하기 때문에 저희가 기억을 저장하는 장소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전두엽에서도 물론 암기가 진행되지만 오래 기억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해마에 저장된 기억은 굉장히 오래 기억되는 "장기기억"입니다. 

 

두정엽 : 운동기능

 

 

두정엽 위치
두정엽 위치

 

 

 

두정엽은 사진처럼 전두엽과 후두엽 그 어느 사이에 있습니다. 중간을 기준으로 살짝 뒤에 있다고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대표적으로 우리의 몸을 움직이는 운동기관의 중추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또한 이 외에도 저희가 손이나 발로 물체를 만질 때 느껴지는 감각들을 처리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통각이나 촉각, 압박감 이런 것들을 느끼는 곳이라는 뜻이죠. 

 

소뇌

이 부분은 후두엽 그 아래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전체의 10% 정도로의 영역입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이 영역에 전체 중 50% 이상의 많은 뉴런들이 여기 몰려있다고 합니다. 두정엽과 마찬가지로 감각기능들과 운동기능들을 총괄한다고 합니다. 저희가 어렸을 때 자전거를 배운 다음 쭉 안 타다가 커서 자전거를 타도 바로 탈 수 있는 것이 바로 이 소뇌 때문입니다. 또한 저희가 균형을 잃지 않고 똑바로 서 있을 수 있는 균형감각도 바로 이 소뇌에서 나오게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