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기업 인턴 워라벨 그리고 일의 강도 등등 경험담

by 단국사범생 2022. 11. 1.
반응형

필자는 학과 공부와 맞지 않아 따로 신의 직장이라 불리는 공공기관 준비를 시작하고 최근 3개월 동안 인턴 생활을 하였다. 생활을 직접 겪으면서 느꼈던 나 개인의 주관적인 난이도와 사회생활 등등을 한번 풀어보려고 한다. 

 

참고로 필자는 다양한 직종 중에서 행정사무 쪽에 지원하여 이 분야에서 일을 하였다는 것을 참고해주시길 바란다. 회사 보안상 어느 회사에서 일했는지는 말하지 못하는 점 양해 부탁드린다.

 

일의 강도 : 매우 낮음

아무래도 평생 이 공공기관에서 일해야 하는 정규직이 아니다 보니 맡기 어려운 일이나 많은 경험을 요하는 주요한 임무를 아예 안 준다. 진짜 거짓말 안 하고 컴활 1급만 따면 개나 소나 다 할법한 쉬운 엑셀 작업과 기타 눈치껏 해야 하는, 그니까 나 말고도 다른 정규직 직원들이 아침에 오면 그냥 하는 잡일들을 알아서 내가 아침에 좀 빨리 와서 처리하는 그 정도가 내 선에서 할 수 있는 일의 거의 전부라고 봐도 무방했다. 이 때문에 '와 나 이거 월급 루팡 아닌가'싶을 정도로 일이 없고 어떤 날에는 정규직분이 아예 일을 안 줘 하루 종일 유튜브나 보면서 시간을 보낸 날도 은근히 많았다.

 

이게 내가 다녔던 공공기관만 그런 건지, 아니면 다른 모든 공공기관도 이렇게 인턴들은 할 게 없는 건진 모르겠지만 어쨌든 내 경험상 진짜 할 일이 적었던 것 같다. 엑셀 업무가 주였고, 가끔 정규직 선임께서 한글(공공기관은 대부분 워드 말고 한글을 많이 쓰신다고 한다.)로 구글링 통해서 뭐 자료 정리 좀 해주라고 시키는데, 그것도 진짜 1시간~2시간이면 끝날 일을 오늘까지 해와! 이렇게 해버리니까 남은 시간이 또 굉장히 많이 붕 뜨게 된다. 정말 시간이 많이 남는 느낌스..?

 

워라벨 : 공기업이 신의 직장이라는 데는 이유가 있다

워라벨은 진짜 깔끔했다. 퇴근시간은 6시인데, 대부분의 직원들이 칼 같게 6시에 딱 맞춰서 집 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보통 직장이라 하면 9시~10시까지의 야근이 거의 의무라고 들었는데, 신의 직장에선 그런 거 없다. 딱딱 퇴근시간 되면 칼같이 퇴근한다. 매우 진귀했던 장면은 어느 날은 우리 팀의 팀장님이 좀 할 게 있으시다고 6시 이후로 남으신 적이 있는데(평소에는 팀장님도 칼퇴근하시는 편) 나머지 직원들은 그런 거 아랑곳하지 않고 짐 싸서 6시에 각자 팀장님께 인사드리고 칼퇴하는 모습이 굉장히 인상 깊었다. 어.. 저래도 되나? 싶은 느낌이 강했지만 뭐 남들 다 하는데 어쩌겠는가? 나도 팀장님께 인사드리고 짠 하고 퇴근했다.

 

같이 일하는 팀 동료들과의 관계

일단 아까 말했듯이 일 난이도가 너무 쉬워서 뭐 사기업처럼 일 못했다고 욕먹거나 하는 그런 게 하나도 없었다. 그냥 자기 할 일 좀만 열심히 하고 각자 즐겁게 이야기하고 그런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3개월을 보냈던 것 같다. 그리고 사기업처럼 정규직 직원끼리 실적 가지고 경쟁하는 그런 곳이 아니기 때문에 인턴들 말고 다른 정규직들끼리도 서로 정치질 하고 경쟁하고 이런 게 거의 안보였다. 그냥 좋은 게 좋은 거지 하면서 친하면 친한 거고 아니면 그만인 뭔가 고등학교적인 느낌? 사무실 분위기가 굉장히 긴장감 크게 없이 평화롭게 흘러가서 굉장히 그 편안함 속에서 3개월을 지냈다.

반응형

댓글